![[2025.06.23] 오늘의 코인 주요 뉴스 요약 + 분석 1 ChatGPT Image 2025년 6월 23일 오전 10 34 39 1](https://xn--on3b95qqna05u.com/wp-content/uploads/2025/06/ChatGPT-Image-2025년-6월-23일-오전-10_34_39-1.png)
1.중동 전쟁 본격화, 비트코인 10만 달러 붕괴
미국의 이란 핵시설 공습 소식이 전해지면서 글로벌 정세에 불확실성이 커졌고, 비트코인은 10만 달러 선 아래로 무너졌습니다. 특히 22일 하루에만 선물 포지션 청산 규모가 7억 달러를 넘어서며 시장은 패닉 양상을 보였습니다.
이란은 즉각적인 대응으로 호르무즈 해협 봉쇄 가능성을 언급했는데, 이는 전 세계 원유 수송의 핵심 루트입니다. 단순한 지역 분쟁을 넘어 경제 전체를 위협하는 리스크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가 반영된 것입니다.
비트코인은 전쟁 리스크에 ‘디지털 금’ 역할을 할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지만, 여전히 초기 대응은 리스크 회피 자산이 아닌 위험 자산으로 분류되는 현실을 다시금 보여줬습니다.
전문가 해석
중동 전쟁 = 원자재 공급망 붕괴 + 인플레이션 공포 재점화 → 위험 자산 이탈 가속
비트코인은 ‘디지털 금’으로 불리지만, 단기 위기 상황에서는 안전자산보다는 위험자산으로 분류되어 매도세에 노출
단기적으로는 변동성 확대 구간, 헤지 자산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하려면 반등 후 고점 유지가 필요
2.블룸버그 “올해 XRP 현물 ETF 승인 확률 95%”
ETF 분석의 권위자로 꼽히는 에릭 발추나스와 제임스 세이퍼트는 XRP 현물 ETF의 승인 가능성을 95%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SEC와의 소송에서 리플(XRP)이 점차 유리한 입장을 확보하고 있으며, 제도권 편입 기대가 커지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입니다.
이는 XRP의 제도화 가능성을 암시하는 시그널이며, 리플 투자자들에겐 중장기적으로 호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XRP가 ETF로 인정받게 되면, 비트코인·이더리움에 이어 암호화폐 자산의 3대 축이 새롭게 형성되는 의미 있는 전환점이 될 것입니다.
전문가 해석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 이후, SEC의 기준이 ‘점진적으로 완화’되고 있음
리플(XRP)은 송금 특화 블록체인으로 은행 간 결제 인프라로도 활용 중이며, 기관 입장에서 ‘유틸리티’ 측면이 강한 암호화폐
ETF 승인은 곧 기관자금 유입의 문 열림 → 거래소 상장 확대 + 유동성 강화 → XRP 재평가 가능성
다만 SEC가 ‘증권성’ 여부를 놓고 최종적으로 어떤 해석을 내릴지는 아직 변수로 작용
3.美 텍사스 주정부, 비트코인 직접 매집 가능해진다
미국 텍사스 주가 암호화폐를 공공 자금으로 직접 매수할 수 있는 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이는 세계 최초로, 정부 주체가 명시적으로 디지털 자산을 ‘전략자산’으로 간주한 케이스로, 제도화 흐름의 또 하나의 분기점이라 평가받습니다.
법안 ‘SB21’은 주정부가 보유한 재정 자금을 비트코인과 같은 디지털 자산에 직접 투자할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 이는 **정부 차원의 채택(Adoption)**이 한층 구체화되었음을 의미하며, 미국 내 다른 주(州)나 해외 지역으로도 파급될 수 있습니다.
전문가 해석
이는 단순한 선언이 아니라, 공적 자산을 디지털 자산으로 다변화하는 전략적 행보
주정부 차원의 매입은 국가급 기관투자자의 참여와 유사 → 신뢰성 확대, 제도적 인정 의미
중장기적으로는 미국 내 다른 주들의 암호화폐 매입 경쟁 또는 ‘준중앙은행적 역할’ 확대도 가능
파생: 미국 연방정부 수준의 규제 명문화 필요성 확대 → “디지털 자산의 법적 지위” 확립 가속 가능성
🔍 종합 해석
단기적으로는 중동발 리스크로 시장이 조정받고 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제도권 진입 속도가 빨라지고 있습니다.
XRP ETF 승인 기대, 텍사스 법안 통과는 암호화폐가 투기 자산에서 제도권 투자 자산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주요 신호입니다.
비트코인의 하락은 구조적인 약세보다는 지정학적 리스크에 대한 일시적 반응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리플(XRP)과 텍사스 이슈는 오히려 강세장의 씨앗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