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 순유출·단기 차익 매도 흔들리는 비트코인, 그러나 25만 달러 전망도?

Photo of author

By 코인정보

ChatGPT Image 2025년 6월 2일 오전 10 21 08
ETF 순유출·단기 차익 매도 흔들리는 비트코인, 그러나 25만 달러 전망도? 2

2025년 6월 초, 비트코인 시장은 여러 방향성 있는 뉴스로 인해 복잡한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 내 비트코인 현물 ETF에서의 대규모 순유출,
단기 트레이딩 심리 강화,
그리고 정부 유동성 정책 기대감 속 초강세 전망까지
상반된 시그널이 동시에 출현하고 있습니다.


📉 BTC 현물 ETF, 한 주간 순유출 2172억 원 기관 투자 이탈 신호?

5월 29일(현지시간): 3억5865만 달러(약 4962억 원) 순유출
5월 30일: 6억1622만 달러(약 8526억 원) 순유출
한 주 누적 총순유출: 1억5700만 달러(약 2172억 원)

이는 한동안 이어지던 ETF 순유입세가 꺾였음을 의미하며,
기관 투자자들의 이탈 혹은 리밸런싱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 시사점:
단기 조정 가능성에 대비한 리스크 관리성 매도로 해석되며,
ETF 수급은 비트코인의 중장기 방향성에 직접적 영향을 줄 수 있는 핵심 지표입니다.


🧭 아서 헤이즈 “올해 비트코인 25만 달러까지 간다”

비트멕스 공동창업자 아서 헤이즈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적 유동성 공급을 이유로
비트코인이 연내 25만 달러에 도달할 것이라는 초강세 전망을 제시했습니다.

🔍 배경 설명:

관세 전쟁 + 경제 불확실성 → 연준의 유동성 확대 압박
정부 지원 기업의 IPO부동산·금융시장 유동성 확장
유동성 → BTC·금으로 전이 → 강세장 가능성

이는 **”유동성 = 자산시장 상승 압력”**이라는 고전적 공식을 다시 꺼내든 셈이며,
단기 하락이 오히려 중장기 매수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신호로 읽힐 수 있습니다.


⚙️ AI 거래 플랫폼 분석: “현재는 수익 실현이 먼저”

비트센서 기반 AI 플랫폼 **비트센서(타오시)**의 CEO는
비트코인 투자자들이 현재 단기 수익 전략에 집중하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국제 정세 불확실성 → 가격 변동성 확대
수익 시점 회수 전략현금화 우선, 레버리지 축소 추세

즉, 투자자들은 “이익이 났을 때 바로 파는” 매매 패턴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지난 ETF 순유출 흐름과도 일부 연결될 수 있습니다.

🟢 관점 해석:
지금은 단기 수익 챙기기 vs 장기 유동성 기대감 사이의 심리적 줄다리기 구간입니다.


정리: 비트코인, 지금은 ‘눈치보기 장세’

항목내용투자자 해석
미국 ETF 자금 흐름대규모 순유출단기 약세 심리 반영
아서 헤이즈 발언25만 달러 전망장기 강세 시나리오 기반
AI 트레이딩 진단수익 발생 즉시 청산단기 변동성 대응 전략

🔻 현재 시장은 뚜렷한 추세 전환보다는 ‘매도 유도-하방 정리-저가 매수’의 조정 구간으로 보이며,
중장기 전략 보유자는 유동성 정책과 온체인 흐름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