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현 시가총액 사상 첫 1조 달러 돌파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업체 크립토퀀트(CryptoQuant)에 따르면, 최근 18개월간 비트코인으로 유입된 자본 규모가
6,250억달러(약 841조원)에 달해, 지난 15년간 누적된 4,350억달러를 넘어섰습니다.
이로써 비트코인의 실현 시가총액은 사상 처음 1조달러를 기록했으며, 이는 장기 보유자(LTH)들의 강한 확신을 반영합니다.
기관 투자자의 전략 자산으로 부상
기관 자금 유입은 이번 랠리의 핵심 동력입니다.
📊 비트코인 트레저리스에 따르면, 현재 기업이 보유 중인 비트코인은 370만 BTC 이상.
총 325개 기업이 비트코인 보유를 공개했으며,
이 중 마이클 세일러가 이끄는 스트래티지가 63만 8,985 BTC를 보유하며 최대 기업 보유자로 꼽힙니다.
또한 국부펀드와 공기업의 매수세가 강화되며 비트코인은 점점 더 전략적 자산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연준의 금리 정책, 향후 핵심 변수
오는 17일 FOMC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 인하에 나설 경우, 위험자산 선호 확대와 함께 비트코인 상승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반면 금리 동결 시 단기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으며, 차익 실현 매물 출회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장기적 전망
현재 비트코인은 단기 조정 속에서도
장기 보유자들의 매집,
기관 중심의 수요,
ETF 도입 효과
등으로 건강한 상승 기반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다만 글로벌 금리 정책, 인플레이션 압력 등 거시경제 요인에 따라 단기 흐름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정리하면, 비트코인은 이미 1조달러 실현 시총과 기관 자산 편입이라는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했지만, 여전히 연준의 금리 정책과 글로벌 유동성이 향후 방향성을 좌우할 전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