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거인들의 합작…비트코인 매집사 ‘21 캐피탈’ 탄생
비트코인(BTC) 시장에 새로운 강자가 등장했다.
테더, 소프트뱅크, 캔터 피츠제럴드, 비트파이넥스 등 글로벌 금융·블록체인 대기업이 합작 출범한 **‘21 캐피탈(21 Capital)’**이 바로 그 주인공이다.
출범과 동시에 무려 비트코인 4만 2,000개 매집을 발표하며 시장의 시선을 집중시켰다.
이는 단순한 투자회사를 넘어, 전략적으로 BTC를 대량 보유하며 시장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매집 전문 법인’의 탄생을 의미한다.
티커명 ‘XXI’, 나스닥 상장 예정…거대한 시가총액 예고
21 캐피탈은 나스닥(NASDAQ) 시장에 ‘XXI’라는 티커로 상장될 예정이다.
이는 단순 매집을 넘어 공식적인 시장 내 기업 투자자 지위를 확보함으로써
기관 자금 유입에 대한 기대감과 비트코인의 제도권 편입 흐름을 더욱 가속화할 가능성이 높다.
출범 자본금 30억 달러…파트너사 규모는 스트래티지 압도
브랜든 루트닉 회장에 따르면, 21 캐피탈은 출범과 함께 30억 달러(약 4조2,879억 원) 이상의 투자금을 확보했다.
구체적 규모는 아래와 같다:
테더(Tether) : 15억 달러
소프트뱅크(SoftBank) : 9억 달러
비트파이넥스(Bitfinex) : 6억 달러
이러한 자금력은 **현재 52만 개 이상의 비트코인을 보유 중인 마이클 세일러의 스트래티지(MicroStrategy)**를 넘볼 수 있는 강력한 기반이 된다.
잭 말러스, 재무 총괄로 합류…라이트닝 네트워크 창시자
21 캐피탈의 재무 책임자로는 **스트라이크(Strike)**의 CEO이자
라이트닝 네트워크 개발자인 **잭 말러스(Jack Mallers)**가 공식 합류했다.
말러스는 2021년 엘살바도르가 비트코인을 법정통화로 채택하는 데 핵심적 역할을 한 인물로,
이번 합류는 단순한 경영진 영입을 넘어 기술과 정책 측면에서의 비트코인 확장 전략을 예고하는 신호다.
그는 성명을 통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21 캐피탈은 자본 효율적인 BTC 투자를 원하는 이들을 위한 최고의 매집사가 될 것이다. 우리는 스트래티지를 넘어서겠다.”
파트너사 위상만으로도 ‘시장 영향력’은 입증
테더: 세계 최대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USDT 시총 1,452억 달러 (207조 원)
소프트뱅크: 일본 최대 IT 투자 그룹, 시총 약 691억 달러 (98조 원)
캔터 피츠제럴드: 전통 금융 대표주자, 시총 약 20억 달러 (7조 원 규모)
이들의 합작은 기존 중앙화 vs 탈중앙화, 전통금융 vs 가상자산의 구도를 무너뜨리는
하이브리드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결론: BTC 매집 시장 판도 변화…제2의 스트래티지 될까?
21 캐피탈의 출범은 비트코인 매집을 넘어선 전략적 진입으로 평가된다.
단순 보유 목적이 아닌, 장기 상승에 베팅하는 기관 중심의 BTC 기반 투자 생태계 확장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앞으로 21 캐피탈이 시장에 어떤 영향을 줄지, 그리고 스트래티지를 뛰어넘는 **‘BTC 보유 1위 법인’**으로 성장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