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시장에서 *XRP(엑스알피)*의 약진이 눈에 띈다.
3월 26일 오전 10시 55분 기준,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테더(USDT) 시가총액: 약 1,440억 6,200만 달러
XRP 시가총액: 약 1,434억 7,800만 달러
두 자산의 격차는 불과 5억 8,400만 달러로 좁혀졌다.
이 추세가 이어질 경우, XRP가 테더를 제치고 시가총액 기준 3위 자리를 탈환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현재 1~2위는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가 굳건하게 자리하고 있으며,
XRP가 이들을 추격하는 유일한 알트코인으로 부상하고 있다.
SEC와의 분쟁 종결이 상승세 촉발
이번 XRP의 시총 급등은 법적 리스크 완화가 주요 촉매로 작용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리플랩스(Ripple Labs) 간의 수년간 이어졌던 법적 공방이 종결 국면에 접어들며
시장 참여자들의 신뢰가 회복된 것이 핵심 배경이다.
SEC가 항소를 철회하면서 XRP의 ‘증권성 논란’이 사실상 해소됐고,
이는 기관 투자자들의 진입과 거래소 재상장, 파생상품 확대로 이어지고 있다.
그 결과, 지난 1년간 XRP의 시가총액은 1,000억 달러 이상 증가했다.
이는 단순한 단기 반등이 아니라, 장기적인 신뢰 회복과 채택 확대의 흐름을 반영한 것으로 분석된다.
테더 추월, 의미 있는가?
테더는 법정화폐에 연동된 스테이블코인으로,
본질적으로는 가격 상승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디지털 자산이다.
투자자들은 테더를 시장 불확실성 회피 수단 거래소 간 자산 이동 용도
현금 대체 수단으로 활용할 뿐, 테더 자체의 가치 상승을 기대하진 않는다.
따라서 XRP가 테더를 시총 기준으로 추월한다고 해서
즉각적인 본질 가치 상승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는 심리적·상징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이정표가 될 수 있다.
XRP가 스테이블코인을 넘어 투자형 자산 중 3위로 등극하는 순간이기 때문이다.
XRP, 이더리움도 추월할 수 있을까?
현재 이더리움(ETH)의 시가총액은 약 2,490억 달러 수준이다.
XRP가 이를 넘어서려면 시가총액이 추가로 약 1,000억 달러 이상 증가해야 한다.
이는 단순한 가격 상승만으로는 어렵고, 글로벌 채택 확대, 대형 결제망 도입, ETF 승인 등 구조적 변화가 병행돼야 가능하다.
일각에서는 리플사의 국제 송금 네트워크 확장 ,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연계 프로젝트 , 기관 대상의 XRP 레저 기반 결제 인프라 확대 등이 현실화될 경우 이더리움과의 격차도 충분히 좁혀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커뮤니티 반응과 시장 전망
XRP 커뮤니티는 이번 상승세를 XRP의 ‘제2 전성기’로 평가하고 있다.
특히, 법적 리스크가 해소되면서 다시금 상장폐지됐던 주요 거래소로 복귀하고, 기관 대상 활용도 확대가 기대되고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XRP가 테더를 넘는 건 시간 문제”라며, “진정한 분기점은 이더리움과의 경쟁 구도 형성”이라고 말한다.
단기적으로는
$0.80~$0.95 레인지 돌파 여부
1달러 회복 후 지속성이 핵심 체크포인트다.
중장기적으로는 법적 안전성 기반의 글로벌 채택 확대 여부가 관건이다.
결론
XRP, 시가총액 1,434억 달러 돌파
테더와의 격차 5억 달러 이내…3위 탈환 임박
SEC 분쟁 종결이 투자자 신뢰 회복 계기
스테이블코인 추월은 상징적 의미…진짜 목표는 이더리움
글로벌 송금망 확대, 기관 도입 가속 시 더 큰 상승 가능성
XRP는 지금 단순한 가격 상승을 넘어, 시장 내 입지를 재정립하고 있는 단계다.
3위 등극 이후에도 가격 흐름보다 구조적 변화를 주목해야 할 시점이다.
XRP의 상승이 지속될 것인지, 아니면 일시적 반등일지… 그 해답은 실사용과 채택률에 달려 있다.